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물가, 설 이후에도 안심 못한다
정부가 물가안정에 매진하고 있지만 설이 지나고 한파가 누그러지더라도 안심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대외적으로는 국제원자재가격 상승과 이상 기온에 따른 국제 식량가격 급등, 대내적으로는 당분간 지속될 구제역 파동, 경기 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맞물려 물가 불안이 연중 내내 한국 경제를 짓누늘 것으로 보인다.

또 상반기에 인위적으로 묶은 공공요금과 대학등록금 등이 뒤늦게 풀릴 경우 하반기에도 물가 안정을 장담할 수 없게된다.

여기에 중국발 인플레이션의 전이 가능성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임금인상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할 경우 수입물가를 통해 한국으로 인플레이션이 전이되면서 물가상승세를 부추길 수 있다.

이 같은 대내외 요인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분기에 4%를 넘어서고 2분기에도 4%를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해외 IB들은 2011년 한국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취약한 내수기반과 함께 물가상승세 확대 가능성을 꼽으며, 한국은행이 이달에 이어 3~4월 중에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최근 ‘세계 경제 전망(World Economic Outlook)’ 수정 보고서에서 신흥 개도국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6.0%로 올려잡았다. 이는 작년 10월의 예상치보다 0.8%포인트나 높인 것이다.

IMF는 특히 석유를 제외한 식품 등 원자재의 올해 물가상승률이 무려 11%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고, 올해 국제유가의 평균가격 전망치도 배럴당 79달러에서 90달러로 10달러 이상 상향조정했다.

게다가 한국경제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당히 어려운 수준이라는 한은의 경고도 여러차례 나오고 있다.

물가가 앞으로 더 오를 것이란 우려는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번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올 1월 소비자동향지수’에서 향후 1년간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7%로 전달보다 0.4%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2009년 7월(3.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김형곤 기자 @kimhg0222>
kimhg@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