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제역 후폭풍 “매몰지역 특성 맞게 별도대책 세워야”
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환경오염 ‘후폭풍’에 우려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규모나 입지 등 각 매몰지역의 특성에 맞게 다각적인 대책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승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본부 물환경센터 선임연구원은 15일 오전 서울 성북구 KIST 국제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인 ‘구제역 관련 전문가 토론회’에 앞서 배포한 자료에서 “경사면 위치 매몰지나 침출수 누출 의심 매몰지 등 매몰지역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사면 위치 매몰지의 경우 해빙기나 우기를 겪으면 사면붕괴에 따라 오염원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며 “축대벽을 설치하거나 배수로를 정비하고 방수막 등을 시급히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는 우선 역학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자는 의미이며 그 이후로도 환경재해 대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침출수 누출 의심 매몰지는 한층 전문적인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연구원은 “무엇보다 지하수 및 인근 하천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며 “재수거처리, 원위치처리 등 다양한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재수거 처리는 안전한 시스템을 갖춘 대형 매립장으로 이동해 재매립하거나 매몰지 인근에 이동식 소각로를 설치하는 방안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동 과정에서 질병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고, 소각 시 유해가스 발생 및 소각로 용량 한계에 따른 처리 시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이 연구원은 설명했다.

원위치 처리는 가축 이동 없이 매몰지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불투수성 재료를 설치하거나 오염 지하수를 지상으로 추출해 처리한 뒤 다시 주입하는 방법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석헌 KIST 환경본부 물환경센터장도 사전 배포 자료에서 “매몰지 붕괴, 악취발생, 병원균이 포함된 침출수 유입, 혼합된 석회성분에 따른 사체 부패 지연 등의 2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지하수 오염 감시를 강화하고 매몰지 주변 야생동물로 질병이 확산될 가능성 등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상수 기자 @sangskim>
dlcw@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