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도 휴학계 승인 시 협의체 참여 여부 재논의 가능성 시사
국립대 의대 총장들 “대학별 여건 따라 자율 휴학 승인해야”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지난 28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의정갈등 해결 창구로 떠오른 여야의정 협의체의 출범이 미뤄지고 있는 가운데, 의사 단체들은 정부에 ‘의대생 자율 휴학 승인’을 허용해달라며 한 목소리를 냈다. 이에 지방 거점 국립대 총장들도 나서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어 향후 여야의정 협의체 가동에 속도가 붙을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29일 헤럴드경제의 취재를 종합하면 국민의힘이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에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를 제외하고 추가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의사 단체는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두 의사 단체 역시 ‘정부의 조건 없는 휴학계 승인’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어 이들의 협의체 참여도 100%라고는 확답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은 전날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참여 조건 선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회장은 “협의체 출범 여부가 이번주 판가름날 것이라는 예측들이 나오는데, 정부가 휴학을 승인해 예측대로 일정이 진행되길 바란다”면서 “성과가 나오면 협의체에 참여하는 의사 단체들도 늘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대변해서 우리가 뭘 하겠다는 것은 아니”라면서도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을 만들어보겠다는 생각에서 조건부 참여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했다.
의대협회 역시 지난 22일 “의대생이 제출한 휴학계가 협의체 발족에 앞서 대학의 자율적 의사에 따라 허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의학회와 의대협회의 요구대로 정부가 휴학을 승인할 경우 협의체 참여 여부에 대한 논의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고 했다. 앞서 의협은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채동영 의협 홍보이사는 “일단 정부의 의대생 휴학 승인이 먼저 이뤄져야 의협도 협의체에 참여할지 다시 고민해볼 여지가 생기지 않겠느냐”면서 “승인조차 안 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의협이 고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의대 교수단체들도 정부의 대응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관계자는 “아직 협의체 참여 여부 결정을 유보하고 있고, 정부의 변화를 보아가며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위원장은 “지금은 정말 의대생 휴학 승인을 해줘야 할 시점”이라면서 “정부가 조건 없는 휴학을 승인해줘도 협의체에 참여할까 말까인데, 아직도 정부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립대 의대 10곳 총장들의 협의체인 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국총협)는 전날 건의문을 내고 정부에 휴학계 자율 승인을 촉구했다. 총장들은 “지금 같은 의정 대립과 의대 학사 차질이 지속된다면 국민 건강을 책임질 의료 인력 양성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이 우려스러워지고 의대생들의 큰 피해가 예견된다”며 “의대생들이 개인적 사유로 제출한 휴학원을 대학별 여건에 맞춰 자율적으로 승인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주요 종교단체 모임인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도 같은날 입장문을 통해 “의대생 휴학 승인을 대학이 자율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고 2025학년도 정원은 학사 일정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사태의 ‘핵심당사자’ 전공의들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여전히 협의체 참여에 부정적이다. 특히 박단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대통령과 여당 대표, 야당 대표까지 만난 뒤에도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 등을 고수하고 있다.
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