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재선에 사업계획 짜던 은행들 초긴장
금리상승, 이자이익·마진에 긍정적
고환율탓 대출부실·자본비율↓우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하면서 은행권도 여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리 상승 전망 자체는 은행의 이자이익에 긍정적 재료지만, 고환율·고금리에 따른 가계·기업 대출 부실 가능성 등 불확실성도 배제할 수 없어서다. 환율 상승이 자본비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내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면서 트럼프 당선인의 재집권에 따른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초 은행들은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금리 하락세가 본격화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었으나, 트럼프 당선으로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에 시작된 금리 하락 기조가 내년에도 이어지면서 순이자마진(NIM)이 완만하게 하락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내년도 계획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미국 대선 결과가 금리·환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우선 트럼프 당선인의 재집권으로 국내외 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게 되면, 은행 수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대표 수익성 지표인 NIM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 고금리 기조에 대출금리가 크게 올랐던 2022년 말 국내 은행의 NIM이 1.71%로 고점을 찍었던 전례도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금리 인하로 인해 은행들의 마진 하락폭이 컸는데, 트럼프 당선으로 금리 상승 기대가 커지면 기존에 대출채권이 크게 늘었던 은행들의 이자이익엔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향후 이자이익이 견고한 상승 흐름을 지속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달러가치 강세로 인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은행 입장에선 부정적일 수 있는 요소다. 고환율과 금리 상승으로 가계·기업의 대출 상환 여력이 하락하면, 연체채권 상·매각 및 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관리 부담도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말 국내 은행의 연체율은 0.53%로, 2018년 11월(0.60%) 이후 최고 수준이다.

환율 급등시엔 은행의 자본비율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자본비율은 자본을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눠 구하는데, 환율이 상승하면 분모에 해당하는 외화 RWA의 원화 환산액이 늘어나는 구조다. 게다가 올해 말부터 금융당국의 보통주자본비율(CET1) 규제비율이 최고 11.5%로 높아지고, 은행·지주가 대부분 13%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어 환율 변수에 예민해질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은 환율이 1400원대 중반까지 급등했던 2022년 3분기에 환율이 국내 은행 총자본비율 하락 원인의 3분의 2 가량을 차지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환율이 100원 오르면 은행의 자본비율은 0.32%포인트 떨어진다는 추정이다. 고유동성 자산 감소로 인한 유동성 문제도 악화될 수 있다고도 봤다. 강승연 기자

spa@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