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속보]北, 직통전화 차단…충돌 가능성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11일 남북 판문점 직통전화 차단에 나선 것은 지난 8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성명에서 “북남 사이의 판문점 연락통로를 폐쇄한다”고 일방통보한데 따른 것이다.

북한이 통보한 8일은 공휴일인 ‘국제부녀절’이었던 데다 주말이 껴 있었기 때문에 직통전화 차단이 현실화된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에 맞서 연일 위협 수위를 높여오던 북한의 첫 행동이기도 하다.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오전 판문점 직통전화를 통한 통화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북측이 조평통 성명에서 주장한대로 전화를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남북 판문점 직통전화는 적십자 채널로 2회선(팩스 1회선)이 설치돼 있으며 남북의 연락관들이 오전 9시와 오후 4시 등 하루에 두 차례에 걸쳐 통화를 가져왔다. 정부는 이날 오후 관례대로 북한과의 전화통화를 재차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판문점 직통전화 차단의 심각성은 남북 사이에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화 루트마저 사라지게 됐다는 점에 있다. 남북은 그동안 주요 사안이나 돌발 상황이 빚어질 경우 판문점 직통전화를 통해 수시로 의견을 주고받아왔다.

키 리졸브 한미 연합군사훈련 개시와 북한의 위협이 맞물리면서 전운이 드리우고 있는 한반도에서 소중한 안전장치가 사라지게 됐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작은 충돌이라도 발생할 경우 소통부재로 인해 대형 군사적 충돌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 셈이다.

북한은 지난 2008년 11월 우리 정부의 유엔총회 대북인권결의안 공동제안 참여를 빌미로 판문점 직통전화를 차단했다가 2009년 9월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를 계기로 조문단을 파견하면서 복원한 바 있다.

또 2010년 천안함 사태 이후 대북 제재조치인 5·24조치 때도 판문점 직통전화를 폐쇄했다가 2년 2개월만인 2011년 1월 복원하기도 했다.

북한은 그러나 개성공단 출입경을 지원하는 서해 군 통신선은 정상대로 유지했다.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도 남북경협의 마지막 끝은 놓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현재 남북간에는 서해 군 통신선을 비롯해 남북 민항 직통전화인 관제 통신망만이 최소한의 대화 통로로 살아남아 작동하게 됐다.

신대원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