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쉼표> 개성상인
개성(開城)은 고려의 수도 개경(開京)의 훗날 이름이다. 열 개(開)자는 대외개방형 무역항을 의미하는데 그 중심이 바로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碧瀾渡)라는 나루터다. 외국 사신과 상인들의 빈번한 왕래로 무역이 번성했고, 아라비아 상인까지 드나든 12~13세기 전후에는 인구가 50만 명에 이르렀다. 같은 시기 유럽의 전통적 부자도시 피렌체보다 4배였고, 상권으로는 베니스보다 2세기 앞섰다. 고려가 영어로 ‘코리아’가 된 것도 이 때부터다.

조선시대 실학자 이익은 저서 ‘성호사설’에서 개성상권의 성공이유를 ‘서울과 가까우면서 중국 대륙과 소통되고, 조선 개국에 저항한 사대부들이 관직에 배제되면서 상업에 전념했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개성상인이 앉은 자리에는 풀도 나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다. 또 ‘깍쟁이’는 개성의‘가게쟁이’에서 비롯됐다. 하나같이 개성상인들의 검소하고 근면성실함을 대변한다. 


16일로 북측 근로자 일방 철수로 5개월이 넘도록 폐쇄됐던 개성공단이 재가동된 지 꼭 1년째가 된다. 2012년 평균 4000만 달러에 이른 월 생산액도 올해 3월부터 회복됐다. 5만3000여명에 이르는 북측 근로자들도 평온을 되찾았고 입주기업은 123개 업체에서 두 곳이 더 늘었다. 통신·통관·통행 등 ‘3통’과 국제화 추진, 출입ㆍ체류 문제 등도 개선됐다. 개성공단 전담 상사중재위원회도 구성됐고, 외국기업들도 투자지원센터를 찾는다.

그러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남북 간 다양한 합의사항 대부분이 실행되지 않고 있다. 정치적 대립으로 조성된 경색국면이 그 원인이다. 화해와 교류·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은 ‘행복통일’의 ‘마중물’이 돼야 마땅하다. 옛 개성의 명성에 걸맞게 정치와 경제를 확고하게 분리하자.

황해창 선임기자/hchw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