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북한 권부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후계자 김정은이 권력의 전면에 등장하면서 후계세습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군부를 중심으로 한 매파와 협상파 간의 의견충돌과 새로운 후계자에 대한 충성경쟁 등이 맞물리면서 연평도 포격 같은 전례없는 무력도발을 감행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 44년 만에 열린 노동당 대표자회에서 김정은이 인민군 대장 칭호를 받고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공식적인 김정일의 후계자로 모습을 드러냈고, 이후 북한 내부에서는 대대적인 김정은 띄우기 작업이 진행됐다.
한 대북 소식통은 “김정은이 북한 내부적으로 위상이 확고해졌고 후계자로서 자리를 잡았다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은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후계체제가 아직 불안한 상황인 데다 김정일의 건강상태 역시 후계체제 안착의 변수가 되고 있는 만큼, 주민들의 내부결속을 강화하기 위해 북한이 추가적인 대남 무력도발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관진 국방장관 최근 국회에서 열린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회에서 “북한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예년 수준의 대남 비난과 훈련을 계속하고 있다”며 “새로운 수단과 방법으로 기습 도발할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현태 기자/pop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