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출신인 그는 5공화국 시절부터 외교부, 청와대, 환경부 등 행정부처에서 일하며 관료로서 경험을 두루 갖춘 뒤 정치권으로 뛰어들었다.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장직을 맡으며 당의 전략 브레인으로 줄곧 활약했으나 지난 2002년 대선 패배, 그리고 2004년 총선 패배 이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비록 보수의 집권을 위해 선두에서 뛴 인물이지만 그는 진보 진영에서도 “말이 통하는 인물”로 꼽혀왔다. 범야권 단일화를 추진하는 진보진영 핵심 관계자는 “윤 전 장관에게 합리적 보수와 진보가 함께할 수 있는 정치조직화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며 “그는 현재 보수ㆍ진보의 정치구도 속에서 새로운 대안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결국 현 양당구도의 구태정치를 지적하는 안 원장과 윤 전 장관의 정치적 지향점이 동일할 수 있다. 안 원장이 현재의 이념을 통한 좌우 편가르기 대신 상식과 비상식의 틀을 지향하는 점은 윤 전 장관의 합리성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윤 전 장관에게는 보수의 짙은 그림자가 있다. 그런 윤 전 장관이 안 원장의 정계입문을 이끌고 있다는 시각에 대해선 부담스럽다. 안 원장 역시 “윤 전 장관은 나의 수많은 멘토 중 한 분”이라며 “그분 말씀 그대로 따르진 않을 것”이라고 선을 긋기도 했다.
하지만 윤 전 장관이 안 원장이라는 최고의 정치적 상품을 포기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주변 정치인들은 윤 전 장관이 여권의 친이ㆍ친박이라는 강력한 틀거리와 거리를 두고 은둔하며 새로운 형태의 정치를 모색해온 것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했다.
윤 전 장관은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국민의 힘을 조직화해서 충격을 줘 정치권이 바뀌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제3의 정치세력화를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정당 등 다양한 하드웨어가 가능한 세대다.
박정민 기자/boh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