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대통령도 언급한 직구(直購), 역직구의 위력
[헤럴드경제=함영훈ㆍ이한빛 기자] “우리나라 드라마(‘별에서 온 그대’)가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어 중국 시청자가 주인공이 입고 나온 의상(‘천송이 코트’)과 패션 잡화 등을 사기 위해 한국 쇼핑몰에 접속했지만, 공인인증서 때문에 구매에 실패했다. 이런 것은 개선해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사활을 걸고 추진하고 있는 개혁 정책에 거론될 정도로 ‘직구(直購)’의 위력이 거세다. 직구는 온라인 국제거래이기에 여러 나라가 표준화된 틀을 갖춰야 한다. IT강국 대한민국 대통령의 ‘직구 일갈’은 국내 정책 개선을 물론 직구, 역직구 거래국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G20 경제장관들도 관심= 지난해 7월 20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한국 등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다양한 국제 경제 이슈들에 대한 총의를 공동선언문 형태로 발표하면서 전자결제 향상과 안전한 거래 시스템 확립도 끼워 넣었다. 국경을 초월한 B2C 인터넷 직접구매가 날이 갈수록 폭증하는 점을 감안한 것이었다.


필요한 물건을 해외 제조사 e-마켓플레이스에서 직접 싸게 구매하는 ‘직구’의 파워는 글로벌 기업의 각국 수입대행업체의 폭리를 저지하고, 그들을 가격인하 내지는 퇴출로 내몰더니, 급기야 대통령과 G20 경제총책들의 관심 이슈가 될 정도로 강해졌다.

직구 이슈는 현재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는, 전 세계적인 가격 거품의 제거와 ‘직구’가 활성화되기 이전 막대한 차익을 챙겼던 명품 브랜드의 시장 전략의 재편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국제 전자거래의 안전한 시스템 확립을 위한 국가 간 협력이다.

지난해 47%의 전년 대비 성장세를 보이며 ‘직구 1조원 시대’를 연 한국에서, 수입대행업체들이 한국민의 ‘클릭 쇼핑’ 열풍 앞에 떨고 있다.

▶직구 앞에 떠는 수입업체= 아동복 업체 랄프로렌코리아는 국내에 진출한 지 2년8개월 만에 고가정책을 포기하고 지난해 7월 40%의 파격인하를 단행했다. 하지만 20대는 물론 50대까지 직구에 가담하고 병행수입마저 활발해지는 데다, “파격인하했다는 값도 비싸다. 그간 얼마나 큰 차익을 남겼나”라는 비판론이 퍼지면서 결국 지난달 입점했던 국내 백화점에서 물건을 치웠다.

직구를 해 보면 배송비와 관세 등을 부담하고도 국내 수입(독점)판매업자가 제시한 가격보다 20~50% 싸다. 세일기간을 이용하고 할인옵션을 덧붙일 경우 더 싸게 원하는 제품을 만질 수 있다.

직구의 최대 매력은 가격이기 때문에, 수입업체는 ‘직구 열풍’ 속에 살아남기 위해 대대적인 가격인하를 단행하고 있다.

신발ㆍ가방 브랜드 ‘나인웨스트’는 GNI코리아를 통해 한국에 직접 진출하면서 10~15%의 가격인하를 단행했다. 이 업체가 함께 취급하는 ‘스티브 매든’, ‘이지 스피릿’의 가격도 15% 내렸다. 직구나 병행수입의 영향으로 가격조정이 일어난 것이다. 젤리슈즈 ‘멜리사’ 역시 직구 가격과 별 차이 없도록 판매 예정가보다 15% 가격을 인하해 론칭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취급한 ‘갭’은 ‘직구와 가격 차가 난다’는 이미지를 줄이기 위해 본사 가격과 비슷해지는 세일시즌 때 적극적인 홍보에 나선다.


▶역직구 소비자 보호책과 다자간 시스템 표준화= 직구는 ‘한국에선 비싸야 팔린다’, ‘한국 소비자는 봉’이라는 얘기를 옛말로 만들어버렸다.

그러나 가격이 싸다고 덤비듯 주문했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물건에 하자가 생겨 반품,환불을 요구하면 제조사와 소비자가 상호 확인을 할 수 없으니 보호받지 못하거나 환불, 재배송에 따른 운송료를 물어야 한다. 정부는 ‘특별통관대상업체’만 이용할 것을 권하고 있지만, 폭증하는 직구 수요에 비춰 턱없이 부족한 충고다.

중국 시청자가 ‘천송이 패션 잡화’를 구입하려고 아우성쳤듯이 해외 소비자가 한국 제품을 온라인 구매하는 ‘역직구’도 커지고 있다. 한류열풍이 거센 중국, 홍콩, 대만 등지에서 활발하다. 인기상품은 화장품, 분유, 패션 등 소비재 위주이다.

대통령의 의중을 파악한 정부의 ‘역직구’ 대응책도 발 빠르다. 내년 상반기까지 신속한 상품 교환ㆍ반송을 위해 주문지 공동물류센터와 AS센터 설립을 지원하고 전자결제시 공인인증서 이외 다양한 보안ㆍ인증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역직구 해외 소비자 편의제도를 마련키로 했다.

그러나 우리만 잘 한다고 해서 직구의 ‘안전’과 ‘신뢰’가 담보되는 것은 아니다. 다자간 제조물 책임을 상호 담보할 체계를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vi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